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국민과 함께 새롭게 거듭나는 대한민국 우정

우체국은 범부처 협업을 통해 다양한 공적역할을 수행합니다. 

복지등기 우편서비스란?
지자체가 위지싱후, 독거 가구 등을 대상으로 복지관련 안내문을 등기우편물로 발송  /> 집배원이 방문 및 생활실태 팡가하여 지자체로 회신

지자체우편물 발송(복지정보 포함)> 우체국(복지사각지대 의심가구 방문, 죽거지관찰, 기초면담) > 
지자체(위기가구 심층 면담,지자체 복지담당)> 지자체(대상자 지원 등,복지서비스연계)

(추진경과) '22.7월 부산영도에서 최초 시행, '24.12월 현재 86개 지자체 협약
치매환자, 자립준비청년 등에도 확대 시행하여, 지역사회의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 강화
(사업효과) 복지사각지대 1가구 발굴비용:10,626원(근무지내 출장 비용 25,000원에도 미치지 않는 금액
- 산출가정('24년 기준)
  위기가구 발굴건수(a): 36,720건(37.6%), 복지등기 발송비용(b): 390,208천원(97,552가구 배달)
  1가구당 발굴 비용(a/b) 10,626원
전국 확대 시 약 10.3억원으로 97,350건 발굴 가능

우정사업본부 국민과 함께 새롭게 거듭나는 대한민국 우정

우체국은 범부처 협업을 통해 다양한 공적역할을 수행합니다. 

가스안전 우편서비스란?

도서지역은 LP가스(가스통 등 사용)를 주 연료로 사용하고 있어 적극적인 안전관리 활동이 요구됨
 />집배원이 도서지역 주민에게 가스안전 정보가 담긴 등기우편물을 배달하면서, 
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필요한 기초점검정보*를 수집하여 전달
*집배원이 세대원 면담으로 가스 사용실태 체크리스트 작성 전달

한국가스안전공사(등기우편물 발송,점검정보 포함) > 우체국(등기우편물 배달 및 체크리스트 작성, 가스안전 실태 확인 및 관찰)
> 한국가스안전공사(안전상황 파악 및 지원책 마련, 복지정보 포함)

(추진경과) '23년 전남 도서지역 가스안전 등기 발송(8,952건) > 5건 안전 조치
           '24년 전국 도서지역 가스안전 등기 발송(25,532건) > 76건 안전 조치
(사업효과) 1세대 당 점검 비용 87.8% 절감

('21년도) 기간제 점검원 22명(인당 인건비 576만원) 활용하여 점검 > ('23년도) 가스안전 등기 발송 국민과 함께 새롭게 거듭나는 대한민국 우정

우체국은 범부처 협업을 통해 다양한 공적역할을 수행합니다. 

폐의약품 회수사업이란?
우편서비스를 활용한 폐의약품 회수를 통해 분리배출에 대한 시민인식을 제고하고, 회수율 향상 등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
시민, 폐의약품 배출(우체통, 수거함) /> 우체국(우체통 수집 및 수거함 방문 회수)> 
우체국(지자체에서 지정한 보관장소로 배달)>지자체(소각처리)

(추진경과)시범운영 세종시('23.1월), 서울시('23.7월), 나주시('23.8월), 본사업 시행총 50개 지자체 협약('24년말 기준)
(추진실적) 전국 확대('23년) 이후 회수물량 203% 증가 
'23년/ 우체통 16,557/ 수거함 2,420 /계 18,977
'24년/ 우체통 52,348 / 수거함 5,145 / 계 57,493
(사업효과) *세종시 사례
예산절감 92.0%('22년 251백만원->'24년20백만원)
수거량 증가 128.5%('22년 5,430kg->'24sus 12,410kg)
수거처 확대 47.8%('22년 186개소(약국,보건소)->'24년 275개소(+우체통,주민센터,공동주택관리소)

우정사업본부 국민과 함께 새롭게 거듭나는 대한민국 우정

우체국은 범부처 협업을 통해 다양한 공적역할을 수행합니다. 

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지급신청 지원이란?
일용 임시직 건설근로자가 퇴직할 때 받을 수 있는 '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'이 대상자의 인지 부족 등으로 미청구건이 증가
 /> 우편제도를 활용하여 일용 임시직 건설근로자의 퇴직공제금 신청 지원

(건설근로자 공제회) 등기우편 발송 -> (우체국) 우편물 배달 시 청구서 작성 안내 -> (퇴직건설근로자) 청구서 작성 -> (우체국) 청구서 회신 -> (건설근로자 공제회) 퇴직공제금 지급  -> (퇴직건설근로자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(추진경과) '23년 장기 미청구자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후, 효과성이 검증되어  '24년 지급대상자 확대
(사업효과) 우편서비스를 통해 공제금을 인지하지 못한 대상자에게 제도를 알리고, 
           지급절차의 편의를 도모하여 공제금 지급률 향상